자바의 상속
객체지향언어에서의 상속은 객체간의 관계를 언어레벨에서 정의하는 방법이다.
상속은 Simula 라는 언어의 객체지향적 부분에서 발전했다고 알려져 있다. C++ 개발자인 비야네 스트로스트롭이나 Java 개발자인 제임스 고슬링도 Simula 에서 언어 개발에 상당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Java 의 상속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
수퍼/서브클래스
어떤 클래스 B 가 다른 클래스 A 를 상속할 때 A를 수퍼클래스, B 를 서브클래스라고 한다. 간혹 수퍼타입/서브타입으로도 부르기도 하는데 다소 다른 의미다.
아래 코드에서 Truck
은 Car
의 서브클래스이기 때문에 자동차가게(CarStore) 에 Truck
을 둘 수 있다. 하지만 Ship
은 둘 수 없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class Ship {} class Car {} class Truck extends Car {}
class CarStore { private Set<Car> carList = new HashSet<>(); public void put(Car car) { carList.add(car); } }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rStore shop = new CarStore(); shop.put(new Car()); shop.put(new Truck()); shop.put(new Ship()); } }
|
상속관계인 클래스 Car
와 Truck
은 서로 각자의 타입이면서 클래스이다.
타입과 클래스는 다르다. 하나의 클래스는 대부분 두가지 이상의 타입으로 표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입과 클래스
Truck
의 인스턴스는 Truck
와 Car
타입이 될 수 있다.
1 2 3 4
| Car car = new Car(); Truck truck = new Truck(); Car truckCar = truck; Object obj = truck;
|
Java 의 모든 클래스는 Object 를 상속하므로, Object 타입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제네릭 클래스는 타입 인자에 따라 수많은 타입을 만들어낼 수 있다.
1 2 3
| ArrayList<Object> objs = new ArrayList<Object>(); ArrayList<Car> cars = new ArrayList<Car>(); ArrayList<Truck> trucks = new ArrayList<Truck>();
|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 클래스는 구현 지향적이다. 내부 상태와 할 수 있는 연산이 구현되어 수행하는 자료구조에 가깝다.
- 타입은 선언 지향적이다. 특정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일의 제한을 지정한다.
아마존 트럭. 트럭이고 차이고 기계이다.
타입 관계
서브타입은 수퍼타입의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서브타입은 수퍼타입의 모든 기능을 상속받았고 수퍼타입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수 있으므로, 수퍼 타입이 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이 문제없이 동작가능하게 구현되어야 한다. 리스코프 치환 원칙 으로도 부른다.
이러한 타입 관계에서는 변성(variance)
이라는 성질이 존재한다.
메서드의 인자로 전달된 객체의 상태가 변할땐 자신의 타입을 포함한 수퍼타입으로 제한되고, 특정 객체를 반환할 경우 반환형은 자신의 서브타입으로 제한된다.
- 특정 메서드에게 걸그룹을 인자로 전달하려면 특정 메서드의 선언은 걸그룹이거나 걸그룹의 수퍼타입(가수, 사람, 동물 …)이어야 한다.
- 특정 메서드에서 걸그룹을 반환할 경우 그 반환값은 걸그룹이거나 걸그룹의 서브타입(트와이스, 소녀시대 …)이어야 한다.
좀더 유식하게 표현하면 1번의 경우를 반공변적이라고 하고 2번의 경우를 공변적이라고 한다.
트와이스는 걸그룹이지만 소녀시대는 아니다.
가요무대 클래스의 멤버 메서드가 노래를 부를 가수 타입이 필요하다면 걸그룹 인자에 대해 반공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보이그룹이나 솔로가수도 갈 수 있다.
하지만 걸그룹 어워드 클래스 메서드에서 특정 걸그룹중 1위를 반환한다고 하면 반환시에는 트와이스나 시스타, 소녀시대만으로 제한된다.
이때는 인자에 대해 공변적이다.
제네릭은 항상 서로 다르다
제네릭을 처음 공부할때 다소 혼란스러운 부분이 제네릭 파라미터가 수퍼/서브타입의 관계일 경우 제네릭 클래스도 수퍼/서브타입이 성립할거라는 착각이다.
다음 코드는 컴파일 오류이다.
1 2
| ArrayList<Car> cars = new ArrayList<Truck>();
|
제네릭 타입은 다른 모든 제네릭 타입과 수퍼/서브타입이 성립하지 않는다. 제네릭 파라미터화 타입이 서로 어떤 관계이든 항상 다른 타입이다.
이것을 유식한 단어로 불공변(invariant)
이리고 한다.
하지만 배열은 이상하다.
배열은 위의 성질과 다르게 공변관계를 허용한다. 그래서 다음 코드는 문제가 없다
1
| Car[] cars = new Truck[1];
|
문제는 위의 배열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할 때다. ArrayStoreException
이 발생하는데, 컴파일 타임이 아닌 런타임에 발생한다.
배열은 제네릭과 다르게 런타임 시에도 타입이 소거되지 않고 유지하기 때문이다. 런타임 시 이 소거되지 않은 타입을 검사하며 오류를 출력한다.
배열의 이러한 공변성으로 인해 타입관련 잠재적인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오류에 대해서는 컴파일러가 대부분은 경고를 해 주므로, 컴파일 시의 워닝 메시지를 무시하지 말자.
와일드카드 변성
Java 에서는 배열의 제네릭 파라미터일 경우 이 관계를 와일드카드와 함께 써서 PECS (Producer-extends, Consumer-super)
로 정의한다.
1 2 3 4 5 6 7 8 9
| List<? extends GirlGroupSinger> girlGroups1 = new ArrayList<>();
girlGroups1.add(new Twice()); girlGroups1.add(new Sistar());
GirlGroupSinger some = girlGroups.get(0);
|
1 2 3 4 5 6 7 8 9
| List<? super GirlGroupSinger> girlGroups2 = new ArrayList<>();
girlGroups1.add(new People()); girlGroups1.add(new Animal());
GirlGroupSinger some = girlGroups.get(0);
|
여기서 Producer 와 Consumer 의 주체는 제네릭 타입의 인자이다.
extends 일 경우 인자가 값을 생산 (get) 한다는 의미이며 super 일 경우 인자가 값을 소비(set) 한다는 의미이다.
이 주제와 관련해서 좋은 StackOverflow 링크가 있다. https://bit.ly/2GdGEUh
자동 선언
서브클래스는 수퍼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와 멤버 메서드들을 자동으로 상속한다.
상속한다는 뜻은 서브클래스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않아도 정의된 것처럼 별도 선언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인스턴스 변수, 멤버 메서드 라고 명시적으로 말한 건 static 으로 정의된 변수와 메서드는 제외되기 때문이다.
수퍼클래스에 대한 접근은 super
키워드를 사용한다.
super 키워드는 사용처에 따라 다른 대상을 가르킨다.
- 생성자에서 사용되는
super
는 생성자 함수 를 가르킨다. 호출하는 함수 형태이다. - 멤버 함수에서의
super
는 인스턴스 를 가르킨다. 부모 인스턴스를 레퍼런스하는 변수처럼 동작한다.
접근제어
상속에 몇가지 제약을 걸 수 있는 접근제어자가 있다.
Java 를 처음 학습할때 접하는 private
, protected
, public
이고 별도로 정의하지 않으면 default
접근제어가 적용된다.
보통 좋은 프로그램 코딩 가이드에서는 제한적인 접근을 먼저 적용하고 필요에 따라 넓혀가라고 조언된다. private
으로 전부 선언한 뒤, 필요에 따라 protected
혹은 public
으로 넓혀가는게 좋다.
애매한 건 default
접근 제어인데 이 케이스는 일반적인 케이스의 경우 잘 사용되지 않지만, 구현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할때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만일 같은 패키지에 UserInputController
클래스와 UserInputController
을 상속한 Mouse
클래스, Keyboard
클래스가 있다고 할 때 타 패키지에서는 UserInputController
으로만 추상적으로 접근하게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구현하면 된다.
구현 클래스에는 public 접근제어 없이 default 로 선언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package me.javarouka.input; public interface UserInputController {}
package me.javarouka.input; class Mouse implements UserInputController {}
package me.javarouka.input; class Keyboard implements UserInputController {}
|
외부에서는 클래스를 생성하지 못한다.
private 생성자 로도 이런 방법을 쓸 수 있지만, DI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 가 대중적이다.) 등을 쓰고 있다면 이 방법이 유용할 것이다.
DI 프레임워크 등이 없다면 팩토리 클래스 같은 생성 헬퍼를 만들어줘야 할 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 package me.javarouka.input; public interface UserInputControllers {
public static UserInputController createMouse() { return new Mouse(); }
public static UserInputController createKeyboard() { return new Keyboard(); } }
|
실제 구현 클래스의 노출 없이 구현 클래스 타입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정보 공개를 하지 않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결론
다음 포스트에서는 상속의 단점과 구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그리고 코틀린에서 이런 상속 관계들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본다